Spring Boot에서 DTO, ENTITY, REPOSITORY, SERVICE, CONTROLLER 로 분류하는 이유
Hits: 447
Spring Boot에서 DTO, ENTITY, REPOSITORY, SERVICE, CONTROLLER로 분류하는 주된 이유는, 소프트웨어 공학의 SOLID 원칙과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원칙을 따르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계층화는 코드의 유지보수성, 확장성, 그리고 가독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각각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 DTO (Data Transfer Object): DTO는 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객체입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합니다. DTO는 일반적으로 로직을 포함하지 않고, 단순히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DTO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구현의 복잡성을 숨기고 필요한 데이터만 클라이언트에 노출할 수 있습니다.
- 역할: 시스템의 다른 부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요청과 응답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 중요성: DTO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모델의 복잡성을 숨길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하고, API가 노출하는 데이터와 내부 모델 간에 명확한 구분을 제공합니다. 이는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API의 변경으로부터 내부 모델을 보호합니다.
- Entity: Entity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행을 ORM (Object-Relational Mapping) 기술을 통해 객체로 매핑합니다. 이것은 JPA (Java Persistence API)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데이터의 영속적인 상태를 나타냅니다. ENTITY는 비즈니스 로직이나 데이터베이스 로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주로 데이터베이스와의 매핑에 초점을 둡니다.
- 역할: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와 해당하는 데이터를 객체 지향적으로 표현합니다. 이 객체들은 데이터의 영속적인 상태를 나타내며,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중요성: Entity는 데이터의 구조와 동작을 모델링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Entity 클래스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좀 더 직관적이고 객체 지향적으로 다룰 수 있습니다.
- Repository: Repository는 Entity 객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추상화합니다.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면, 인터페이스를 정의함으로써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Repository는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담당하고, Service 계층과 데이터베이스 사이를 매개합니다.
- 역할: CRUD 작업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관련 로직을 추상화합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모든 작업을 Repository를 통해 수행합니다.
- 중요성: Repository의 사용은 데이터 접근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코드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데이터 접근 로직의 중복을 방지하고,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Service: Service 계층은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합니다. 이곳에서는 데이터를 가공하고, 비즈니스 규칙을 적용하며, 다양한 Repository를 조합하여 복잡한 연산을 수행합니다. Service 계층은 Controller와 Repository 사이에서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코드의 재사용성과 테스트 용이성을 높입니다.
- 역할: 복잡한 비즈니스 규칙을 적용하고, 여러 데이터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조합하여 비즈니스 연산을 수행합니다.
- 중요성: Service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을 중앙화하여 코드의 재사용성과 테스트 용이성을 높이는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또한, Controller와 Repository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여, 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 액세스 로직을 분리합니다.
- Controller: Controller는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들이고, 요청에 맞는 Service 계층의 메소드를 호출하여 처리한 후, 적절한 응답을 반환합니다. MVC (Model-View-Controller) 패턴의 일부로서, HTTP 요청의 진입점이며, 라우팅 및 요청의 유효성 검사 등을 담당합니다.
- 역할: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해당 요청을 처리할 Service를 호출한 후, HTTP 응답을 반환합니다. 요청의 라우팅, 유효성 검사, 예외 처리 등을 담당합니다.
- 중요성: Controller는 애플리케이션의 진입점 역할을 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비즈니스 로직의 분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요청에 대한 처리가 중앙화되며,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부분과의 결합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계층화는 코드를 구조화하고, 각각의 계층이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을 준수하도록 합니다. 따라서, 각 계층은 각기 다른 이유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변경이 다른 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이는 결국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테스트가 용이한 코드로 이어집니다.